유아 문해력의 중요성
“책은 잘 듣는데… 이해는 못 하는 것 같아요”
5살 아이 키우며 처음 알게 된 ‘문해력’ 이야기
요즘 아이랑 같이 책을 읽다 보면
가끔 이런 생각이 들어요.
“음… 이 많은 내용을, 상황을 정말 이해하고 있는 걸까?”
“왜 울었는지, 왜 웃었는지를 잘 모르는 것 같기도 하고…”
보통의 5살아이는 대게 글을 땔수가없죠
그래서 혼자 읽기보다는 제가 직접 읽어주게 되죠.
저희 아이는 한권의 책을 읽어주면 끝까지 귀 기울여 듣고
그림도 유심히 보는 편이에요. 책을 읽는걸 좋아하는편이고 엉덩이도 무거운 편이죠.
그런데 얼마전 잠자리 독서로 '행복한 왕자'를 읽어주는데,
왕자가 눈물을 흘리는 감정이 뚝뚝 묻어나는 장면에서
“얘는 왜 울어?”
라고 물어보는데… 순간 머리가 띵-했어요.
‘어? 이런 감정이 안 느껴지나?’ 싶더라고요.
‘문해력’이라는 단어, 요즘 왜 이렇게 많이 들릴까요?
이전엔 그냥 "책 많이 읽어주면 되지!"라고 생각했는데,
요즘은 문해력이라는 말이 자주 보여서 저도 찾아봤어요.
문해력은 단순히 ‘글자를 읽는 능력’이 아니라,
말이나 글을 듣고 ‘이해하고, 생각하고, 말로 표현하는 능력’이래요.
그래서 요즘은 글자를 못 읽는 5살 아이도,
‘듣고 이해하는 힘’부터가 바로 문해력의 시작이라고 하더라고요.
우리 아이도 혹시? 문해력이 자라는 ‘징후’ 살펴보기
- 책 읽어줄 때 집중하긴 하는데, 줄거리는 잘 기억 못 함
- “왜?”라는 질문에 “몰라”가 먼저 나옴
- 상황이나 감정 파악이 잘 안 되어서, 등장인물의 행동이 이상하게 느껴지는 듯함
저희 아이도 딱 이랬어요. "왕자는 왜 울고있는것 같아?" 라는 질문에 "몰라" 라고 대답하더군요
그래서 처음엔 “얘가 책에 집중을 안 했나?” 했는데,
사실은 ‘이해하고 정리해서 말하는 힘’이 부족했던 거더라고요.
그래서 요즘 집에서 이렇게 해보고 있어요
책 읽어준 후, “누가 나왔지?”부터 시작해요
처음엔 줄거리보다 등장인물만 기억해도 OK!
“토끼가 나왔어~” 하면 “그 토끼는 뭐했더라?” 이렇게 조금씩 이어가는 방식이요.
그림만 보고도 상상하는 놀이
“이 친구는 지금 어떤 기분일까?”
“왜 그랬을까?”
이렇게 대화하다 보면 그림책이 훨씬 풍성해져요.
일상에서 생긴 감정을 말로 표현하게 도와줘요
유치원 갔다 와서 “오늘 뭐가 제일 재밌었어?” 같은 질문보다
“오늘은 속상한 일 있었어?” 하고 감정에 집중하는 질문을 자주 해요.
글씨를 읽기 전에, ‘이해하는 힘’부터 키워주는 게 더 중요하대요
처음엔 "언제쯤 글자를 뗄까?"가 가장 큰 관심사였는데,
요즘은 ‘말귀 알아듣는 힘’, ‘느낀 걸 말로 표현하는 힘’ 이 더 중요하다는 걸 알게 됐어요.
그게 결국 문해력의 바탕이 된다고 하더라고요.
(결국 엄마의 좋은 질문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깨닫고있어요)
늦어도 괜찮고, 작아도 괜찮아요
우리 아이는 아직 글자는 못 읽어요.
그치만 책 속에서 “이 친구 삐졌지?” “엄마, 이건 나쁜 말이야”
이런 말이 점점 늘고 있어요.
그럴 때마다 속으로 생각해요.
“아, 이 작은 이해가 모여서 나중엔 책도, 세상도 읽게 되겠구나.”
혹시 지금,
"우리 아이는 책을 들어도 제대로 이해 못 하는 것 같아요…"
하고 걱정되셨다면, 너무 조급해하지 마세요.
문해력은 글씨보다 먼저 시작되고,
대화 속에서 조용히 자라는 힘이니까요
우리의 아이들은 '대기만성' 할 파릇파릇한 새싹들이니까요!
'유아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아이 영·유아 독서의 중요성 (0) | 2025.04.11 |
---|
댓글